신약의 세계-문화 인류학적 배경
문화적인 배경속에서의 성서의 세계를 고찰한다
신약성서 배경사에 있어서의 고전! 신약신학의 필독서!
전통적인 기독교에서 하나님의 메시아인 나사렛 예수는 구체적인 역사의 현장 속에서 이해되어져야 한다.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는 시간과 공간 안에서 독특한 문화적인 규범과 전제속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러한 문화적 상황 가운데 전하여진 그분의 말씀 역시 역사적인 상황의 토대 위에서 연구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부르스J.말리나의 "신약의 세계" 초판은 신약성서 배경사에 있어서의 고전이다. 자료와 내용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적인 접근과 해석에 있어서의 모델이 되어왔다. 이번 책은 그 개정판으로 자료와 참고문헌 등을 첨가하여 더욱 신뢰할만한 내용으로 신약신학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신학을 전공하거나 고대사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 이 책은 깊이있는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감사의 글
개정판 서문
제1판 서문
제1장 성경 연구의 문화인류학 : 본문의 올바른 해석
이 책의 배후에 있는 전제들
자연, 문화, 사람
문화의 이해
더 큰 그림-문화적인 단서들
왜 더 큰 그림인가? 모델 제작자로서의 인간
문화인류학적 모델들
요약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제2장 명예와 수치 : 1세기 지중해 세계의 중심 가치들
명예에 대한 이해
사람은 어떻게 해서 명예를 부여받는가?
명예를 획득하는 방법
혈통으로 상징되는 명예
이름으로 상징되는 명예
명예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
명예와 그 도전에 대한 해석
명예와 법정 출두
집단적인 명예의 특성들
명예와 노동에 대한 도덕적 구분: 이중적 잣대
명예와 수치의 정의
중요한 구분
요약
대조적인 자녀 양육 방식
가설의 점검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제3장 1세기의 인격체 : 개인과 집단
1세기의 인격체
집단 지향적인 인격체
인간의 구조 : 세가지 영역의 모델
인간의 구조와 하나님
요약
미국사람들과 고대 지중해연안 사람들과의 대조
가설의 점검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제4장 한정된 자원에 대한 인식 : 개인의 사회적 신분 유지
산업화 이전의 도시
한정된 자원: 인식의 기초적인 단서
명예로운 사람의 방어전략
명예로운 사람의 상호관계적 결합
한정된 자원과 부의 축적
한정된 자원과 개인적인 인과 관계
한정된 자원과 구조화된 사회 세계
요약
가설의 점검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제5장 친족관계와 결혼 : 대가족적 융합
친족관계
비교 분석한 친족제도의 구조적인 주요 특징들
결혼
성경에 나타난 결혼 전략들
요약
가설의 점검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제6장 정결함과 불결함 : 정결 규례 이해
거룩한 것과 속된 것
정결: 정함과 부정함
변칙들과 가증한 것들
유대교에서의 사람의 분류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의 분류
희생제사 : 거룩한 제사의 과정
기독교의 정결 인식
요약
가설의 점검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신학적 결론
■ 추천사
"신약의 세계"는 성경본문을 읽을 때 접하게 되는 타문화적인 요소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국가적인 보물이다.
┃David M. Bossman│Professor of Jewish-Christian Studies│
"신약의 세계" 초판은 고전이라 할 수 있고, 새로이 편찬된 개정판은 차트와 참고문헌 등을 강화시킨 내용을 담고 있다.
┃Douglas E. Oakman│Assistant Professor of Pacific Lutheran University│
"신약의 세계"의 개정판은 오늘날의 학도들에게 익숙한 실례들과 참고문헌들, 그리고 미국인들과 지중해 연안 사람들의 비교 차트 등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책으로 발전되었다. 말리나는 성경의 독자들로 하여금 성경을 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돕는 본래적인 목적을 충실히 이루고 있다.
말리나는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람들과는 다른 1세기 지중해 연안 사람들의 사회적 행동 유형을 학도들에게 제공한다. 명예와 수치, 한정된 자원, 친족관계와 정결법 등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대단히 필수적이다.
┃Josephine Massyngbaerde Ford│Professor, University of Notre Dame│
말리나의 "신약의 세계" 개정판은 신약 학도들뿐만 아니라 고대서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대단히 유용하다. 올바른 해석을 위해 "신약의 세계"가 제공하는 모델들은 근본적이며, 실제적이며, 통찰력이 있다. 본서는 대단히 중요한 책이다.
┃Carl R. Kazmiersky│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Ottawa│
이 책보다 다른 시대, 다른 지역을 제대로 소개한 책이 없다.
┃Dennis C. Duting│Professor of Canisius College│
■ 저자의 말
이 책은 신약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을 염두에 두고 쓰여졌다. 이 책의 목적은 신약에 나타난 인물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배경을 통찰하는데 필요한 몇가지 유익한 모델들을 문화인류학의 분야에서 제시하려는 것이다. 대부분의 신약 연구는 용어적이고 문학적인 분석, 인물과 사건에 대한 역사적인 성명, 또는 다소 지형적이고 고고학적인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모든 것은 신약성경 본문의 의미를 명확히 밝혀주는데 도움이 되고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대부분 성경학도들은 그러한 정보들을 가졌을 때 그것이 현재 우리 사회에서 작용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생가하고 있는데, 결국 문화적인 배경과의 이런 무의식적인 혼합은 성경을 그 학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게 만들지는 몰라도, 그에 따른 영감된 저자가 의도한 의미, 즉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이 의도했다고 생각하는 그 의미에 대한 어떤 손실을 가져다주지는 않겠는가?
우리가 신약 연구에서 문화인류학적인 모델을 사용하는 목적은 문화적인 배경의 관점에서 최초로 선포되었던 본문의 의미를 듣고자 하는 것이다. 본서에 사용된 모델은 초기 기도교 사회에 대한 전체적인 문화적 모습이라기 보다는 단편적인 행동들을 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중간 정도 범위의 모델들이다. 이 모델의 선택은 어떤 전제들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필자는 제1장에서 일반인류학 특히 문화인류학의 모델구성 배후에 있는 전제들을 설명한다. 문화인류학의 모델들은 성경에 대한 양자택일의 설명을 제공하지도 않으며, 또한 문화비평적, 역사적, 그리고 신학적인 연구를 도외시하지도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은 다른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차원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경에 관한 질문들이 나올 때, 수많은 해석들을 자세히 검토해주는 방법을 제공해준다.
이 책에서 제시된 모델들의 선택은 개론 수준의 신약 과목들에 나오는 자료와 씨름하는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가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았다. 제2장은 명예와 수치를 다루는데, 이것은 고대나 현대나 지중해 문화에서 중심이 되는 가치들이다. 제3장은 이 책에 묘사된 사람들의 사회 심리에 주목한다. 제4장은 모든 자원을 한정된 것으로 생각하는 그들의 암묵적인 인식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5장은 그들이 친족관계와 결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살펴본다. 제6장은 그들의 정결규례를 다룬다. 본서 전체를 통하여 필자는 이 분야에 있어서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암묵적인 가정을 지적히고 비교관점을 제시하려고 했다.
브루스 J. 말리나
네브라스카에 있는 Creighton대학의 신학교수이며, Windows on the World of Jesus: Time Travel to Ancient Judea and Christian Origin and Cultural
Anthropology: Practical Model for Biblical Interpretation 등의 저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