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신학2

유럽의 종교개혁

משׁה 2014. 12. 14. 12:56

 

종교개혁 당시 지성사와 사회사적 개관을 아우르는 가운데 빈민이나 여성 등의 주변인들, 소수파들, 일반 문화, 근대의 특성과 근대 국가 건설 과정 등에서의 개혁까지 살펴보는 데서 나왔다. 종교개혁이 결코 종교분야만의 단일한 운동이 아니었다는 발견에 입각하여 그는 특별히 “유럽의 종교개혁들”이라는 용어로 종교개혁의 성격을 규정한다. 종교개혁 운동의 면면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저자의 통합적 연구는 이 시대 우리의 개혁이 교회사에 머무르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도록 도전한다.